오늘은 EC2를 이용하여 서버를 구축해보자!
먼저 http://aws.amazon.com 로 접속하여 로그인을 한 뒤 AWS Management Console에 들어가보자.
AWS Management Console는 클라우드 리소스를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한 화면으로 들어가보면 아래와 같다.
아마존에서는 사전에 미리 구성된 운영체제의 이미지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이미지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선택할 수 있게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시스템에 대한 이미지를 AMI(Amazon Machine Image)형태로 올려서 사용할 수 있게 한다.
필자는 EC2를 통하여 Ubuntu 서버를 하나 설치해 보도록 하겠다.
* EC2는 아마존 클라우드에서 핵심적인 기능을 한다. 클라우드라는 개념이 "빌려주다"라는 개념이라면 그 빌려준다라는 것을 핵심적으로 실현시켜주는 것이 EC2라고 할 수 있다.
EC2로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. 이제 우리는 Instance를 생성하여 하나의 컴퓨터를 만들어보자 .
Launch Instance를 클릭하면 위와같은 화면이 나온다.
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3가지 방법이 있다.
classic wizard : 실행할 인스턴스 유형에 대해 좀 더 세분화된 컨트롤 및 고급 설정을 제공한다.
quick launch wizard : 프로세스를 단순화하고 많은 선택 사항을 자동으로 구성하므로 인스턴스를 빠르게 시작할 수 있다.
AWS Marketplace : 아마존에서는 미리 준비된 운영체제와 에플리케이션을 쉽게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,
필자는 classic wizard를 통하여 우분투를 설치하겠다.
우분투 select 클릭!!!!
number of instance : 인스턴스갯수 설정
instance type : 인스턴스 종류 설정
인스턴스 종류는 다음과 같다.
CPU CORE나 메모리 부분을 가늠하여 설정하면 된다.
아마존은 내가 사용한 크기 및 용량 만큼 돈이 부과되니 자신에게 맞는 종류를 선택하도록 한다.
일단 나는 테스트니 제일 작은 !! M3 Extra Large를 선택하겠다.!!
해당 Launch Instance아래에 availablity Zone 이있는데 아마존 사이트에서는
* 지역, 물리적으로 구분된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개별 존(Zone)으로 하여 존(Zone)간 부하분산, 이중화 및 DR 구성 등의 서비스 중단 없는 고 가용성 (Fault Tolerant) 서비스 환경이 지원됩니다.
라고 한다. 좀 더 이해를 돕자면 나라마다 데이터 존이라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 있는데 좀더 데이터를 빨리 받기 위해 특정 나라에 설치했다고 한다. 우리가 데이터를 받아올 때 미국에서 받아오는 것보다 도쿄혹은 서울에서 받아오는게 거리적으로 훨씬 좋은 맥락이라고 보면 될 듯하다 .
아무튼 나는 us-west를 선택하고 continue를 클릭하도록 하겠다.
생성된 인스턴스는 위와같다 .
착수 !!!
이제는 ssh로 위 인스턴스를 접근해 보자
생성된 인스턴스를 클릭해보면 하단에 해당 url을 확인할 수 있다.
이 url을 통하여 접근하기 위해서는 번거로운 작업이 하나 있다.
우리가 아까 다운로드 받은 키를 이용해서 비밀번호를 인증해야하는데 이 과정에서는 puttygen과 putty가 필요하다 .
1)puttygen을 연다.
load를 클릭하여 해당 ~~.pem이라는 키를 불러온다.
불러온뒤 save private key를 클릭하여 재저장한다.
우리는 방금 재저장한 키를 가지고 putty를 열어
위 browse를 클릭하여 넣어준다 . 그리고 난뒤 session에 url을 입력하고 접속하면 접속 완료~!
'컴퓨터 공부 > 클라우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(Amazon Web Service)란 (0) | 2013.05.23 |
---|---|
[클라우드] 클라우드란 (0) | 2013.05.23 |